5월 9일 김현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원이 대덕고등학교 학생들과 “처음 읽는 인공위성 원격탐사 이야기” 도서에 대해 토론하였다. 멘토는 공간정보 관련 지구관측 분야가 우주와 관련된 부가가치 높은 새로운 시장이라는 점을 설명하고, 학생들이 진로 선택 시 항공우주 분야를 생각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5월 23일 최한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회원이 대전느리울초등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과 “긴긴밤” 도서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다. 멘토는 온실기체의 종류와 기후변화의 원리, 한국에 나타났던 기상이변에 대해 추가 설명하며 학생들이 기후위기와 지구 환경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왔다.
5월 30일 김민지 (국방과학연구소) 회원이 대전느리울초등학교 학생들과 “환경과 생태 쫌 아는 10대” 도서를 읽고 만나 환경과 생태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지속가능한 생태계 보존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6월 20일 정한의 (국방과학연구소) 회원이 대전이문고등학교 학생들과 도서 “핵의 변곡점”을 읽고 만나 국방과 안보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다. 핵의 원리와 역사적 배경, 정치적인 관점에서 핵의 이용에 대해 토론하며 과학을 정치와 윤리적 관점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6월 20일 김수정 (국방과학연구소) 회원이 대전이문고등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과 “칩 워”에 대해 토론하였다. 반도체 기술의 중요성과 국제 정세 속 기술 패권에 대해 다룬 책 내용을 바탕으로 멘토가 준비한 영상과 질문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입장과 관점에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7월 10일 정해지 (국방과학연구소) 회원이 대전중앙중학교 학생들을 만나 과학도서 “주변의 모든 것을 화학식으로 써 봤다”에 대해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멘티들은 생활 속 화학 물질과 화학 반응에 대해 이야기 나누며, 책에서 소개된 리튬이온전지의 원리나 석유의 증류 정제 과정 등에 대한 멘토의 보충 설명을 통해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7월 11일 김마리(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회원이 대덕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 “경험은 어떻게 유전자에 새겨지는가” 도서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다. 멘토는 후성유전학의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고 조별 토의를 진행하여 학생들이 생성형 AI를 통해 생각을 발전시키고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7월 14일 한효순 ((사)한국과학커뮤니케이터협회) 회원이 대전중앙중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과 “처음부터 화학이 이렇게 쉬웠다면” 도서에 대해 토론하였다. 멘토는 과학에서 시작해서 화학, 원자에 이르기까지 관점을 좁혀가며 학생들이 개념을 잡을 수 있도록 지도하고, 학생들의 많은 질의응답에 답변하며 학생들의 이해를 도왔다.
※ 2025년 5월~7월 과학탐구교실 강연 현황: 과학도서 멘토링
강연일자 | 강연학교 | 강연자 | 소속 |
---|---|---|---|
5월 9일 | 대덕고등학교 | 김현옥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5월 23일 | 대전느리울초등학교 | 최한나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5월 30일 | 대전느리울초등학교 | 김민지 | 국방과학연구소 |
6월 20일 | 대전이문고등학교 | 정한의 | 국방과학연구소 |
6월 20일 | 대전이문고등학교 | 김수정 | 국방과학연구소 |
7월 10일 | 대전중앙중학교 | 정해지 | 국방과학연구소 |
7월 11일 | 대덕고등학교 | 김마리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7월 11일 | 대전중앙중학교 | 김현옥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7월 14일 | 대전중앙중학교 | 한효순 | 전 명지대학교 |
![]() |
![]() |
---|---|
▲ 대전이문고등학교 (정한의 회원) | ▲ 대전느리울초등학교 (최한나 회원) |